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샤르코 마리 투스 병리학 희귀라는 말로는 부족한 이야기

카테고리 없음

by 샤르코 마리 투스 전문블로거 2025. 7. 28. 18:47

본문

샤르코 마리 투스 병리학 샤르코 마리 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 이하 CMT)은 희귀 질환이라는 타이틀 뒤에 가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전 세계적으로 약 250만 명 이상이 앓고 있는 유전성 말초신경병증입니다. 주로 10대에서 30대 사이에 증상이 나타나며, 다리와 팔의 말단부터 시작되는 근력 저하, 감각 저하, 보행장애 등이 점진적으로 진행됩니다. 이 병의 무게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만이 아니라, 신경세포 내부에서 벌어지는 병리학적 변화를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신경은 어떻게 병들어 가는가

샤르코 마리 투스는 기본적으로 말초신경의 기능 이상으로 발생합니다. 말초신경은 우리 몸의 사지 말단까지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과 같은 구조인데, 이 신경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근육 수축, 감각 전달, 반사 작용이 차례로 무너집니다.

신경 축삭(axon) 신호 전달 통로 축삭의 지연성 퇴화 또는 단절
말이집(myelin sheath) 신경 절연체 역할 탈수초화(demyelination), 두꺼운 재형성
슈반세포(Schwann cell) 말이집 생성·유지 유전자 돌연변이에 따른 기능 이상
근육 말단부 수축 명령 전달 받는 부위 자극 감소 → 근위축 발생

이처럼 신경계 자체의 구조가 변형되기 때문에, 단순한 근육 질환으로 볼 수 없습니다.


샤르코 마리 투스 병리학 유전자의 오작동

샤르코 마리 투스 병리학 샤르코 마리 투스는 유전 질환이기 때문에 병리학적 변화의 시작은 유전자 수준에서 발생합니다. 특정 유전자 하나의 돌연변이가 수초 형성을 방해하거나 축삭 유지 능력을 저해하여 신경 기능 전체에 혼란을 일으킵니다.

PMP22 수초 형성에 관여 과다 발현 시 탈수초화, 부족 시 축삭 기능 저하
MPZ 말이집 단백질 수초의 구조 불안정화 유발
MFN2 미토콘드리아 융합 조절 축삭 내 에너지 공급 문제로 신호 전달 지연
GJB1 세포 간 연결 통로 형성 세포 간 전기신호 흐름 장애
EGR2 수초 유전자 조절 전사인자 탈수초성 병변 심화

즉, 작은 유전자 돌연변이가 거대한 신경 네트워크의 혼란을 초래하는 것입니다.


샤르코 마리 투스 병리학 보이지 않는 전선의 차이

샤르코 마리 투스 병리학 샤르코 마리 투스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바로 수초가 주로 손상되는 CMT1축삭 자체가 손상되는 CMT2입니다. 겉보기에는 비슷해 보여도, 병리학적으로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주요 손상 부위 말이집(수초) 축삭 자체
전도속도 느려짐(20m/s 이하) 비교적 정상(>40m/s)
원인 유전자 PMP22, MPZ, EGR2 등 MFN2, NEFL 등
조직 변화 수초 탈락, onion bulb 형성 축삭 위축, 축삭 소실
임상 특징 유아기부터 증상, 심한 변형 성인기 발병, 증상 천천히 진행

전도속도의 차이만으로도 두 유형은 완전히 다른 생물학적 질병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현미경 아래에서 보이는 무너짐

병리학적으로 가장 극명한 차이는 조직검사에서 드러납니다. 말초신경 생검이나 전기생리학적 검사에서 CMT 환자의 신경은 비정상적으로 부풀거나, 껍질이 벗겨진 듯한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탈수초 소견 말이집 손실, 얇아지거나 불규칙하게 끊어짐
Onion bulb 형성 탈수초 → 재수초 → 반복으로 생긴 다층 구조
축삭 위축 가는 신경섬유 소실, 신경세포 밀도 저하
말단 신경 염증 일부 환자에서 경미한 염증성 변화 동반
근육 위축 신경 자극 부족으로 인한 근섬유 소실

말이집의 손실이 누적되면 결국 전기 신호가 도달하지 못해, 근육이 스스로 소멸하는 것이 이 병의 실상입니다.


샤르코 마리 투스 병리학 시간은 몸을 어떻게 바꾸는가

샤르코 마리 투스 병리학 샤르코 마리 투스는 급성 질환이 아닙니다. 대부분 수년에서 수십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며, 그만큼 병리학적 변화도 시간에 따라 누적적으로 일어납니다.

초기 수초 일부 손상, 무증상 혹은 발목 불안정
중기 탈수초 확산, 축삭 손상 시작, 보행장애 가시화
후기 광범위한 축삭 소실, 근육 위축 가속화, 보조기 필요
말기 말단 마비, 손 기능 상실, 휠체어 의존

치료의 목적은 손상 자체를 되돌리는 것이 아니라, 진행을 최대한 늦추는 데 있습니다.


치료의 실마리를 제공

샤르코 마리 투스는 현재까지 근본 치료가 없는 유전병입니다. 하지만 병리학적 메커니즘이 밝혀지면서, 새로운 치료제 개발과 유전자 교정 치료 연구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습니다.

유전자 치료 돌연변이 유전자의 발현 억제 또는 교정 (PMP22 억제 연구 등)
미토콘드리아 조절 MFN2 관련 축삭 손상 예방
단백질 샤페론 수초 단백질의 오접힘 방지
항산화 치료 축삭 스트레스 경감
신경 재생 촉진제 손상된 축삭 복구 및 재성장 유도

병리 메커니즘이 명확해질수록, ‘대증 요법’에서 ‘원인 치료’로의 전환이 가능해집니다.


앞으로의 방향은

샤르코 마리 투스 병리학 샤르코 마리 투스는 생명을 직접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천천히, 그러나 확실하게 일상 기능을 제한하고 신체의 독립성을 뺏어가는 질환입니다. 병리학적 변화는 그저 세포 차원의 일이 아닙니다. 손가락을 쓰기 어려워지고, 계단을 오르기 힘들어지고, 결국 타인의 도움 없이는 외출이 어려워지는 삶의 패턴 전체를 바꾸는 변곡점입니다. 그렇기에 병의 흐름을 이해하고, 변화의 단서를 읽는 병리학은 단순히 의학적인 지식이 아니라 삶을 설계하는 지침서가 될 수 있습니다. 샤르코 마리 투스의 복잡한 신경의 지도, 그 안에 숨은 병리학적 풍경을 이해한다면, 비로소 우리는 이 질환과 함께 살아갈 방법을 조금 더 정확히 찾아갈 수 있습니다.